top of page

이력서 작성 가이드

  • Seohyeon L
  • 5월 8일
  • 3분 분량

ree


안녕하세요. 코기로그입니다.

일본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것이 바로 "履歴書(이력서)"입니다.

일본 이력서의 작성 방법을 항목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이력서 기본 규칙

  • 「です・ます」체 또는 「である」체 중 하나로 통일하여 작성하며, 지나치게 공손한 표현은 피하고 자연스러운 비즈니스 일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간결하고 명확한 「です・ます」체를 추천합니다.

  • 모든 항목을 빠짐없이 작성해주세요.

  • 오탈자가 없나 꼼꼼하게 확인해주세요.

  • 간혹 이력서나 직무경력서를 영어로만 제출하는 지원자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본 기업에서는 일본어 이력서를 기본으로 요구합니다. 영문 이력서만 제출할 경우, 별도의 연락 없이 서류 심사에서 탈락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반드시 일본어 버전을 함께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① 기본 정보 작성법

  • 日付|날짜: 제출일 기준으로 기입 (면접 시: 면접일 / 우편: 발송일)

  • 名前|이름: 姓と名 사이에 공백. 'ふりがな'는 히라가나, 'フリガナ'는 가타카나로 기입

  • 生年月日・年齢|생년월일과 나이: 和暦(예: 平成) 또는 西暦(예: 1995년 5월 10일) 중 통일

  • 住所・連絡先|주소와 연락처: 우편번호부터 아파트명, 호실까지 정확히. 연락처 같을 시 '同上'

  • 電話番号・メールアドレス: 정확한 번호 기입. 메일은 PC용 주소 권장

  • 写真|사진: 최근 3개월 이내 촬영한 정면 상반신 사진 (3×4cm). 정장 착용, 모자 금지


② 학력・경력 작성법

  • 学歴|학력:

  • 학교명, 학과, 전공은 공식 명칭으로 기재

  • 중퇴는 '中退', 재학 중이면 '卒業見込み' 등으로 명확하게 표기

  • 최종학력보다 한 단계 아래의 학력부터 기입해주세요. 대학교가 최종학력일 경우 고등학교부터.

  • 일본 이력서에서 말하는 ‘최종학력’은 “가장 마지막으로 다닌 학교”가 아니라 “가장 높은 교육 수준의 기관”을 뜻합니다.


예시: 대학 → 전문학교 순으로 다닌 경우

  • 2014년: 고등학교 졸업

  • 2018년: ○○대학교 졸업

  • 2020년: △△전문학교 수료

→ 이럴 때, 마지막으로 다닌 곳은 전문학교이지만, 대학교 교육 수준을 더 높게 보기 때문에

‘최종학력’은 대학교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최종학력인 “대학 이전의 학력”부터 기재해주세요.

2011年4月 ○○高等学校 入学

2014年3月 ○○高等学校 卒業

2014年4月 ○○大学 △△学部 入学

2018年3月 ○○大学 卒業

2019年4月 △△専門学校 入学

2020年3月 △△専門学校 修了

  • 職歴|경력:

  • 학력 아래 1줄 띄고 職歴 기재해주세요.

  •  입사・퇴사 연도, 회사명, 업종, 직원 수, 업무내용을 간단히 기재해주세요.

  • 퇴직 사유는 '一身上の都合', '会社都合' 등 명확히

  • 재직 중일 경우 '現在に至る', 마지막 줄에 '以上' 작성해주세요.


③ 免許・資格欄|면허・자격 항목

  • 자격증은 정식 명칭과 취득 연도를 정확히 기재해주세요.

  • 지원 기업과 관련된 자격을 우선 기재해주세요.

  • 없을 경우 '特になし'라고 작성


④ 志望動機欄|지원 동기 작성법

자기를 어필할 수 있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 기업 조사 후, 자신의 경험・강점・기여 가능성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해주세요. 이건 추후 따로 다루겠습니다.

  • 회사를 지칭할 때 표현 주의

문서나 이메일 등 ‘글’에서는 회사를 貴社(きしゃ),

면접 등 ‘말할 때’는 **御社(おんしゃ)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비즈니스 매너입니다.


예시)

 이력서나 자기소개서 등 문서에서는:

 → 「貴社の事業内容に強く共感し、志望いたしました。」

(귀사의 사업 내용에 깊이 공감하여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면접 자리에서는:

→「御社で自分の経験を活かしたいと考えております。」

(귀사에서 제 경험을 살리고 싶습니다.)


⑤ 趣味・特技欄|취미・특기 항목

  • 공란이나 '특이사항 없음'은 지양

  • 대화 소재가 되므로 긍정적인 인상을 주는 항목 기재

  • 범죄, 도박 연상되는 내용은 금지


⑥ 本人希望欄・通勤欄・配偶者欄|기타 항목 작성법

  • 本人希望欄|희망사항: 희망 직무 기재, 근무지・급여 등은 '貴社規定に従います'로 통일해주세요.

  • 通勤欄|통근 항목: 통근 시간(90분 이내), 최단 역 이름. 이주 예정 시 언급

  • 配偶者欄|배우자 항목: 기혼 시 '有', 미혼 시 '無'로 표기. 부양 의무 여부도 체크



기업마다 중요하게 여기는 포인트는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기업은 경력만 맞으면 형식적인 부분은 크게 신경 쓰지 않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력서는 첫인상을 좌우하는 서류인 만큼,

 기본을 지켜 마이너스 이미지를 주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실수나 형식 오류 하나로도 ‘성의 없음’으로 비춰질 수 있으므로, 내용뿐 아니라 표현 방식에도 신경 써 주세요.




 
 
 

댓글


bottom of page